 |
지금 열심히 자하랑님의 포팅에 따라 작업을 하고 잇습니다 여기서 몇가짖 궁금증이 생기는 데요 diff작업이란 무엇인가요 참고삼아서 2.6.10 kernel은 23과 diff를 해서 merge작업을 해 봤는데 양이 너무 많아서 gg치고 포기를 했습니다. 라고 써주셨는데요 지금 제가 사용하고 있는 ez-x5보드에서는 회사에서 2.6.21버전의 커널을 올려 놓았는데 (2.6.21은 2.6.18상위 버전이라 EABI가 지원되는 것을 확인 했습니다) 그런데 여기에는 1. kernel config부분에서 필수라고 하고 있는 저 두부분이 눈에 뜨지 않더군ㅇ 1. kernel config
- CONFIG_AEABI=y : 필수. Android binary들이 EABI system call을 사용한다.
- CONFIG_BINDER=y : 필수. Android에서 사용하는 IPC
- CONFIG_LOW_MEMORY_KILLER=y : 필수? Android process 개수를 제한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추측 중..
- CONFIG_INITRAMFS_SOURCE="" : Option.
- CONFIG_CC_OPTIMIZE_FOR_SIZE=y : Option.
diff작업을 해야 될것이라는 생각이 들던데요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두번째 device drivers 부분을 언급해주셨는데요 이는 어떻게 해줘야 할지 감부터가 안잡힙니다 도움을 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device drivers
- framebuffer
- yres_virtual을 yres*2로 수정하고 mmap buffer를 할당하도록 수정.
- 아마 Android graphic engine에서 double buffering(정확히는 double buffer changing??)에 사용하기 위해서 위와 같이 하는 것으로 추측.
- touchscreen
- Android Emulator는 Emulator에서 mouse 위치와 버튼 정보를 정확하게 event 장치에 넘겨 준다.
반면에 touchscreen driver는 touch device 자체의 좌표를 넘겨준다. 이 때문에 touch device driver에 좌표 보정 기능을 추가하고 calibration data를 sysfs를 통해서 입력받을 수 있게 기능을 추가했다.
- keyboard
- Android Emulator는 Emulator에서 key 입력을 위 touchscreen event 장치에 넘겨주면서, ESC key를 BACK key로 remapping 해주고 있다.
이 때문에 keyboard device driver에서 ESC==>BACK key remapping을 하도록 수정했다.
|
※ 회원등급 레벨 0 이상 읽기가 가능한 게시판입니다.
50
|